즉, 우리나라 토리권에 속하진 않음. 제주민요만의 음악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 우리나라 민요의 특징을 이해하고 직접 따라 불러보며 공부해보고 싶으시다면, 아름다운 노래, 민요를.
다양한 토리의 표현이 나타나는 제주민요와 대표곡 오돌또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제주토리 음악적 특징보다는 가사에 제주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돋보이며, 경토리 등 여러 지역 토리가 혼재되어 있음 토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가면 여러가지 국악 곡을 만났을 때 어느 지역의 곡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제주민요는 서울, 경기지방의 민요 토리와 유사한 점이 많아요. 그러나 제주도 민요의 토리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황무지로 남아 있다. 그동안 한국 민요의 ‘토리’에 대한 연구는 많은 진전이 있었다. 우리나라 민요에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 고유한 음계와 표현 방식이 존재하는데, 이를 ‘토리 (音調)’라고 한다.
‘토리’는 특정 지역의 민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선율의 구조와 진행. 여기까지 각 지방의 토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우리나라 민요를 구별하는 토리에 속하지 않음. 그러나 제주도 민요는 육지의 여러 토리들을 받아들여 여러 토리의 특징이 섞인 곡이 많아 제주도 고유의 토리가 쓰이는 곡은 많지 않다.